디지털 지적정보 공유 플랫폼이란 디지털 역량(digital Capability)을 바탕으로 지적(地籍)과 관련된 정보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의사결정과 상호작용을 지원하고 각종 정보의 변화 동인(Enabler)을 포착해 반영한 프레임을 말한다
해당 사업은 지난해 10월 양평군과 LX 경기지역본부장 간 업무협약(MOU)으로 신기술인 UAV(드론)를 이용해 지적(地籍)정보를 반영하고, 각 부서에서의 의사결정과 군민과의 상호작용 지원을 위해 각종 정보의 변화 동인을 포착해 반영되며, 소요되는 비용은 전액 LX에서 부담하기로 함에 따라 실제 양평군의 예산 절감은 약 90억원에 달하며 금년 하반기에 사업이 완료 될 예정이다.
정동균 양평군수는 “올해 하반기부터는 ‘디지털 지적정보 공유 플랫폼’을 활용해 지적(地籍)정보뿐만 아니라 편의시설과 토지이용정보까지 스마트하게 집이나 사무실 등에서 확인할 수 있게 돼 신속한 의사결정과 군민과 원활한 상호작용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하인규 기자 popupnews24@naver.com
아래는 위의 글을 구글번역이 번역한 영문의<전문>이다.Below is the English <Full text>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Reporter In-Gyu Ha
The digital intellectual information sharing platform refers to a frame that supports user's decision-making and interaction as well as information related to intellectual property based on digital capability, and captures and reflects the enabler of various information changes.
This project was a MOU between Yangpyeong-gun and the head of the LX Gyeonggi Regional Headquarters in October of last year, reflecting cadastral information using a new technology, UAV (drone), and supporting decision-making in each department and interaction with civilians. As the drivers of changes in various information are captured and reflected, and LX will pay the entire cost, the actual budget savings of Yangpyeong-gun amounted to about 9 billion won, and the project is expected to be completed in the second half of this year.
"From the second half of this year, using the'digital intellectual information sharing platform', we will be able to smartly check not only cadastral information, but also convenient facilities and land use information at home or office, etc.,'' said Jeong Dong-gyun, head of Yangpyeong County. It will be of great help to the operation.” <저작권자 ⓒ 브레이크뉴스 경기동북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