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창열 관광학박사/한국웰빙문화관광협회장 ©브레이크뉴스 하인규 기자
|
여성가족부는 새만금 잼버리를 준비한다는 명분으로 4년간(2016~2019년) 해외 출장을 다녀온 공무원이 18명이나 정작 잼버리 업무를 담당하는 직원이 1명도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공무원 인사제도인 순환보직의 속성에 따른 결과라고 보면 별다르게 놀랄 이유는 없다. 하지만 1천억 원이 넘는 막대한 국가 예산이 투입되는 대규모 국제행사라는 점과 잼버리의 주무 부처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담당자를 ‘고정직’으로 배치하는 것이 상식적이다.
그동안 세계엑스포와 지방의 국제박람회, 올림픽, 세계대회 등 수많은 국제행사를 유치하고 개최해 왔지만, 임시 조직 형태인 ‘~ 조직위원회’의 담당 공무원은 유치단계부터 행사단계까지 순환보직으로 인해 처음부터 끝까지 담당하는 공무원을 찾아보기가 매우 어렵다.
정부는 지난 2014년 공직사회 개혁을 이끌 인사혁신처를 출범시켰고, 주로 정무직 공무원을 임명하던 수장의 자리를 새로운 시각에서 공직 인사 혁신을 이끌기 위해 민간 전문가를 기용했다. 민간인 인사혁신처장이 공직사회를 세밀하게 들여다보고 내린 처방은 “공무원 인사 문제의 정점에는 순환보직에 있으며, 무책임과 복지부동은 모두 순환보직 때문이다.”라고 일침을 가하며, 정부 인사개혁의 핵심과제로 ‘순환보직제’를 지적했으나 지금까지도 순환보직제가 강하게 자리 잡고 있다.
한국행정연구원(2021)이 중앙부처 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본인 업무에 대한 전문성 인식 점수가 5점 만점에 3.45점으로 나타나 스스로 낮은 평가를 하고 있다. 이렇게 전문성을 저해하는 1순위 요인은 ‘순환보직으로 인한 잦은 인사이동(36.2%)’으로 나타났다. 통상 공무원의 인사발령은 6개월에서 1년에 한 번 이루어진다. 이처럼 순환보직으로 인한 폐해를 공직에서도 절실히 느끼고 있으나 개선되지 않고 있다.
또한 순환보직으로 인한 무책임과 도덕적 해이를 들 수 있다. 1년 후면 타 부서로 이동하니까 문제가 있어도 버티면 된다. 본인이 계획한 일이 아니면 대충 넘어가고 후임자도 자신이 만든 계획이 아니라고 하면 그만이다. 책임 소재를 따지려고 해도 일의 발생과 경과, 결과의 담당자가 모두 다르다. 누구에게도 책임을 묻지 못하는 구조가 된다. 긴급한 사안이라도 위험 부담을 회피하기 위해 정책 결정을 최대한 미루게 되어 중요한 정책 결정과 관련한 도덕적 해이도 발생한다. 직무에 따른 전문지식과 경험을 축적하려는 노력보다는 잠시 머무르다 떠나는 방식의 업무 처리가 반복된다.
가장 핵심적인 부분은 순환보직을 통한 승진 우선 체계가 순환보직의 문제 해결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직급별로 요구되는 다양한 능력과 경험을 갖추어야 하지만, 현재의 순환보직 체계에서는 한계에 부딪힌다. 조직이 요구하는 공무원이 아니라 자신의 직무를 중심으로 어떤 성과를 창출했느냐가 승진의 기준이 되어야 한다. 다양한 보직을 두루 거친 경력의 제너럴리스트(generalist)가 우대받는 관행이 사라지고 전문성을 가지고 성과를 내는 스페셜리스트(specialist)가 우대받아야 공직사회의 경쟁력이 강화될 것이다.
최근 인사혁신처에서 조사한 결과, 국민이 생각하는 공무원의 인재상도 ‘청렴, 소통 그리고 전문성’으로 나타났다. 국민이 더는 복지부동하며 안정만을 추구하는 공무원을 원하지 않는다. 봉사와 헌신을 기본으로 창의적인 공무원으로서 전문가가 필요하다.
언제까지 비효율적인 순환보직을 방치하고 지속할 것인가?
순환보직, 그 자체가 문제라기보다도 ‘너무나 잦은 순환보직’이 문제의 핵심이다. 공무원이 직무 전문성을 축적하면서 거시적인 안목을 기를 수 있도록 공직 인사제도와 관행을 수정해야 한다. 이권을 다루는 부서는 단기간의 순환직이 필요하겠지만, 전문성과 지속성이 필요한 직무는 ‘장기직’이 적합하다. 전문성을 고려하여 보직 순환의 범위를 최소화하고 일정 기간 이상을 근무할 수 있도록 전보를 금지하여야 한다. 특히 국격과 국가 이미지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국제행사의 경우, 주요 업무를 담당하는 공무원은 시작 단계부터 종료 단계까지 ‘고정직’으로 근무해야 한다.
과거 짧은 시간 내에 축약적인 발전이 필요한 시기에는 모든 분야에 상당한 지식과 경험을 지닌 사람의 순환보직이 효율적이었다. 하지만 순환보직은 과거 시대의 유물일 뿐이다. 이제는 높은 성과를 창출하고 창의적으로 일하는 전문가의 시대가 도래했다. 과거의 습성을 과감히 뿌리치고 순환보직을 탈피하는 실천만이 답이다.
신창열 관관학박사/한국웰빙문화관광협회장
아래는 위의 글을 구글번역이 번역한 영문의 전문이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Below is the full English translation of the above article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to increas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Dr. Shin's MICE/Tourism Column④ "The Vicious Cycle of Jamboree Public Officials and Rot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had 18 public officials who traveled overseas for four years (2016-2019) on a business trip under the pretext of preparing for the Saemangeum Jamboree, but there was not a single employee in charge of the Jamboree. Considering that this is a result of the nature of the rotational position, a personnel system for civil servants, there is no reason to be particularly surprised. However, considering that it is a large-scale international event with an enormous national budget of over 100 billion won and that it is the main ministry of the Jamboree, it is common sense to place the person in charge as a ‘fixed position’.
In the meantime, we have been attracting and hosting numerous international events such as the World Expo, local international fairs, Olympics, and world competitions.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the officials in charge.
In 2014, the government launched the Personnel Innovation Office to lead public service reform, and hired experts from the private sector to lead personnel innovation for public officials from a new perspective in the position of the head, who had been mainly appointing government officials. The prescription given by the head of the Civil Service Personnel Innovation Department after a detailed look at the public service society is that “the apex of public officials personnel problems lies in the rotation of positions, and irresponsibility and welfare immobility are all due to rotation.” As a result, the 'job rotation system' was pointed out, but the rotation system is still firmly established.
As a result of a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2021) for public officials in central ministries, the professionalism recognition score for their work was 3.45 out of 5, giving themselves a low evaluation. The number one factor hindering professionalism was found to be ‘frequent personnel transfers due to job rotation (36.2%)’. Normally, appointments of public officials are made once every six months to a year. As such, public offices are acutely aware of the harmful effects of rotational positions, but they are not being improved.
Also, irresponsibility and moral hazard due to job rotation can be cited. Since I will move to another department after a year, I can endure even if there are problems. If it's not what you planned, it's okay to skip it and your successor just says it's not the plan you made. Even if you try to find responsibility, the person responsible for the occurrence, progress, and result of the work is all different. It becomes a structure where no one can be held accountable. Even if it is an urgent matter, policy decisions are delayed as much as possible in order to avoid the burden of risk, resulting in moral hazard related to important policy decisions. Rather than trying to accumulate expertise and experience according to the job, the process of staying for a while and then leaving is repeated.
The most important part is that the priority system for promotion through position rotation makes it difficult to solve the problem of position rotation. It is necessary to have various skills and experiences required for each position, but the current rotational position system faces limitations. The criterion for promotion should be what kind of performance has been created centering on one's duties, not the civil servants required by the organization. The competitive edge of the public sector will be strengthened only when the practice of giving preference to generalists with experience in various positions disappears and specialists who produce results with expertise are given preferential treatment.
As a result of a recent investigation by the Personnel Innovation Office, the people’s image of a public servant as a talented person was also found to be ‘integrity, communication, and professionalism’. People no longer want civil servants who are immobile and only seek stability. Professionals are needed as creative civil servants based on service and dedication.
How long will inefficient rotational positions be neglected and continued?
The core of the problem is 'too frequent job rotation' rather than a problem in itself. The public personnel system and practices should be revised so that public officials can accumulate job expertise and develop a macroscopic perspective. Departments that deal with interests may need short-term rotational positions, but ‘long-term positions’ are suitable for jobs that require expertise and continuity. In consideration of professionalism, the scope of position rotation should be minimized and transfer should be prohibited so that employees can work for more than a certain period of tim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international events that have a huge impact on national prestige and national image, public officials in charge of key tasks must work as “fixed positions” from the start to the end.
In the past, at a time when condensed development was needed in a short period of time, rotation of positions of people with considerable knowledge and experience in all fields was effective. But rotation positions are just relics of the past. Now, the era of professionals who create high performance and work creatively has arrived. The only answer is to boldly shake off the habits of the past and break away from rotational positions.
Shin Chang-yeol, Ph.D./President, Korea Well-Being Culture and Tourism Associ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