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랑구, '살기 좋은 중랑' 조성 박차촘촘한 중랑구 복지망은중랑구민들의 든든한 버팀목!
|
(중랑=브레이크뉴스 경기동북부)하인규 기자=중랑구는 2024년, 2년 연속 예산 1조 원을 돌파하며 ‘살기 좋은 중랑’ 조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단연 공을 들이는 분야는 ‘복지 서비스’다.
구는 어르신은 잘 모시고 저소득, 장애인 등 취약계층 주민에게는 든든한 울타리가 되어주기 위해 다양한 복지 정책들을 마련했다.
먼저 어르신들이 활기찬 노년을 보낼 수 있도록 여가 및 사회참여의 기회를 늘려가고 있다. 구는 매년 ▲어르신 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을 추진하며 어르신들의 사회참여를 도모하고, 경제적으로 안정적인 노후 생활을 지원하고 있다. 공익활동형, 사회서비스형, 시장형, 취업알선형 총 4가지 유형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활동 수당을 받을 수 있다. 매년 12월경 참여자를 모집하며 올해는 역대 최대 규모인 3,068명을 모집했고, 현재 시니어 바리스타, 경로당 도우미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편안한 여가생활을 누릴 수 있는 환경도 만든다. 어르신들이 많은 시간을 보내는 경로당에는 여름엔 냉방비, 겨울엔 난방비를 지원해 쾌적한 환경을 만들고, 낡고 오래된 화랑마을경로당은 ▲시니어센터 신축을 추진해 어르신을 위한 여가문화공간과 소통의 공간으로 조성하고 있다. 이뿐만 아니라 경로당 이용을 더욱 활성화하기 위해 노래교실, 체조교실, 치매예방 프로그램 등 건강부터 취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홀몸어르신 등 돌봄 취약계층 어르신들을 위해서는 ▲맞춤형 돌봄 서비스도 제공한다. 생활지원사들이 매주 전화와 방문으로 어르신들의 안부를 살피고 외출이 필요할 때는 동행하며, 각각의 사정을 고려해 필요한 복지 서비스 연계도 돕는다. 아울러 고위험 홀몸어르신 가정에는 사물인터넷 기기 570대를 설치해 실시간으로 안전 및 건강관리에 힘쓰고 있다.
저소득 가구에는 생계·주거·교육 등 ▲맞춤형 급여를 지원해 최저 생활을 보장하고 있으며, 질병이나 부상 등으로 생활이 어려운 주민들에게는 ▲의료급여를 지원한다. 주거취약가구의 주거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도배, 장판, 단열 등 보수를 지원하는 ▲희망의 집수리 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기준 중위소득 60% 이하 가구 대상이며 최대 250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신청은 구청 사회복지과 또는 거주지 주민센터에서 가능하다.
고독사 위험 가구를 돌보는 ▲우리동네돌봄단도 운영하고 있다. 지역 사정을 잘 아는 지역 주민들로 구성된 돌봄단은 대상자에게 매주 전화해 안부와 건강 상태를 묻고, 가정에도 방문해 말벗이 되어주며 안부 확인과 동시에 정서적인 지원도 하고 있다.
장애인의 자립을 돕기 위한 복지도 다양하다. 구는 장애인의 사회참여를 확대하고 소득을 보장하기 위해 ▲공공일자리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구청이나 주민센터, 도서관, 사회복지시설 등에서 행정도우미, 사서 보조 등으로 전일제 또는 시간제 등으로 근무할 수 있다. 매년 12월 초 참여자를 정기적으로 모집하고 결원 발생 시 연중 추가모집도 진행한다.
오는 4월 22일에는 구직 장애인에게는 폭넓은 직업 선택의 기회를, 구인 기업에게는 우수 인재 채용의 기회를 제공하는 ‘장애인 일자리 박람회’를 개최한다. 특히 이번 박람회에는 장애인들의 구직 활동에 더욱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취업컨설팅도 마련했다.
또 성인 발달장애인의 사회 적응 능력을 높여 자립을 돕기 위해 ▲발달장애인평생교육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센터는 건강관리부터 문화여가 활동, 직업적응훈련 등 각자에게 맞는 개인별 자립생활 역량 증진 프로그램을 마련해 발달장애인들이 당당한 사회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장애인들이 신체에 활력을 더하고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수영, 요가, 축구, 농구 등 ▲생활체육교실을 운영 중이며, 휠체어 이용자도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무장애숲길도 조성했다. 봉화산에 조성된 무장애숲길인 동행길은 총 3.5km의 데크길로 장애물이 없어 누구나 쉽게 봉화산 정상까지 오를 수 있다.
이 밖에도 생애주기나 가구가 처한 상황, 관심 있는 주제 등에 따라 누릴 수 있는 복지 서비스를 확인할 수 있는 복지플랫폼 ▲중랑복지랑도 구축했다. 중랑복지랑에서는 본인에게 해당되는 복지 서비스를 조회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온라인 신청도 연계돼 있어 더욱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아울러 구는 이웃이 이웃을 도우며 더불어 사는 도시를 만들기 위해 중랑구만의 차별화된 ▲복지브랜드 개발에도 힘을 쏟고 있다. 이미 마련된 제도권 안으로 들어오지 못하는 복지 사각지대 문제를 해소하고, 중랑구민이 중랑구민을 돕는 플랫폼을 만들겠다는 포부다. 지난 3월 개발 전담팀이 구성됐으며 앞으로 6월 말까지 각 복지사업들의 연계 및 통합 방안과 중복 수혜, 복지 사각지대 해소 방안 등을 마련해 나갈 예정이다.
하인규 기자 popupnews24@naver.com
아래는 위의 글을 구글번역이 번역한 영문의 전문이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Below is the full text of the above article translated into English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Jungnang-gu, spurring the creation of ‘Livable Jungnang’
The dense welfare network of Jungnang-gu is a strong support for Jungnang-gu residents!
- Establishment of a wide range of welfare policies for the elderly, low-income people, and the disabled
- Establishment of welfare platform ‘Jungrang Welfare’ to view welfare services at a glance
- Goal of developing a welfare brand unique to Jungnang-gu
-Reporter Ha In-gyu
(Jungnang = Break News Northeastern Gyeonggi) Jungnang-gu is accelerating the creation of a ‘livable Jungnang’ by exceeding 1 trillion won in budget for two consecutive years in 2024. Among them, the field that is most focused on is ‘welfare services.’
The district has prepared a variety of welfare policies to take good care of the elderly and provide a strong barrier to vulnerable residents such as low-income people and the disabled.
First, we are increasing opportunities for leisure and social participation so that seniors can live an active old age. Every year, the district promotes jobs and social activity support projects for the elderly, promotes social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and supports an economically stable life in retirement. There are four types: public service type, social service type, market type, and job placement type. You can work in various fields and receive activity allowances. We recruit participants every year around December, and this year we recruited 3,068 people, the largest number ever. They are currently working as senior baristas and senior center helpers.
We also create an environment where you can enjoy a comfortable leisure life. The senior center, where seniors spend a lot of time, provides support for cooling costs in the summer and heating costs in the winter to create a comfortable environment, and the old Hwarang Village senior center is being created as a leisure, cultural and communication space for the elderly by promoting the construction of a senior center. In addition, in order to further promote the use of senior centers, various programs ranging from health to hobbies, such as singing classes, gymnastics classes, and dementia prevention programs, are also being operated.
For seniors who are vulnerable to care, such as those living alone, ▲customized care services are also provided. Living support workers check on the welfare of the elderly through weekly calls and visits, accompany them when they need to go out, and help connect them with necessary welfare services considering each situation. In addition, 570 IoT devices have been installed in high-risk single senior homes to ensure real-time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Low-income households are guaranteed a minimum standard of living by providing customized benefits for livelihood, housing, and education, and medical benefits are provided to residents who have difficulty living due to illness or injury. In order to promote housing stability for vulnerable households, we are also promoting the ▲House Repair Project of Hope, which supports repairs such as wallpapering, flooring, and insulation. It is for households with an income of 60% or less of the standard median income and can receive support of up to 2.5 million won. Applications can be made at the Social Welfare Department of the district office or the community center of your residence.
We also operate a neighborhood care group that takes care of households at risk of lonely death. The care group, made up of local residents who are familiar with the local situation, calls the recipients every week to inquire about their well-being and health, and visits their homes to be a companion, check on their well-being, and provide emotional support.
There are various welfare options to help disabled people become independent. The district is promoting a public job project to expand social participation and guarantee incom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You can work full-time or part-time as an administrative assistant or librarian assistant at a district office, community center, library, or social welfare facility. Participants are regularly recruited in early December every year, and additional recruitment is conducted throughout the year when vacancies occur.
On April 22nd, we will be holding a ‘Job Fair for the Disabled’ that will provide a wide range of career options for disabled people looking for jobs and provide hiring companies with opportunities to hire top talent. In particular, employment consulting was provided at this fair to provide more practical help in job search activ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addition, to help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mprove their ability to adapt to society and become independent, we are operating the Lifelong Education Center for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The center helps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grow into confident members of society by preparing individual independent living competency enhancement programs tailored to each person, including health care, cultural leisure activities, and job adaptation training.
To help people with disabilities add vitality to their bodies and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we are operating daily sports classes such as swimming, yoga, soccer, and basketball, and we have also created a barrier-free forest path that wheelchair users can easily use. Donghaeng-gil, a barrier-free forest path built on Bonghwasan Mountain, is a 3.5km deck path with no obstacles, so anyone can easily climb to the top of Bonghwasan Mountain.
In addition, we have also established a welfare platform, ▲Jungnang Welfare Rang, where you can check the welfare services you can enjoy according to your life cycle, household situation, topics of interest, etc. At Jungnang Welfare Center, you can not only check the welfare services applicable to you, but also apply online, so you can use it more conveniently.
In addition, the district is also focusing on developing Jungnang-gu's unique welfare brand to create a city where neighbors help neighbors and live together. The ambition is to solve the problem of welfare blind spots that do not fall within the already established system and create a platform for Jungnang-gu residents to help Jungnang-gu residents. A dedicated development team was formed last March, and by the end of June, we plan to come up with a plan to link and integrate each welfare project, duplicate benefits, and eliminate blind spots in welfare.
|
|||
|
|||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