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평소방서, 차량용 소화기... 이제 선택이 아니라 필수

2024. 12. 1.부터 5인승 이상 차량에 소화기 설치 및 비치 의무화

하인규 기자 | 기사입력 2024/12/04 [14:38]

양평소방서, 차량용 소화기... 이제 선택이 아니라 필수

2024. 12. 1.부터 5인승 이상 차량에 소화기 설치 및 비치 의무화

하인규 기자 | 입력 : 2024/12/04 [14:38]

▲ 사진제공=양평소방서  © 브레이크뉴스 하인규 기자


(양평=브레이크뉴스 경기동북부)하인규 기자=양평소방서(서장 서병주)는 차량 화재 발생 시 신속한 초기대응과 인명·재산 피해 저감을 위한 차량용 소화기 비치해야 한다고 밝혔다.

 

소방청 화재통계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차량 화재는 총 11,398건으로 해마다 화재발생 건수와 사망자가 증가추세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연평균 3,799건이 발생해 27명이 숨지고 149명이 다친 셈이다.

 

차량 화재 발생 시 연료와 차량 시트 등 많은 가연물로 인해 차량 전체로 연소 확대될 위험성이 매우 높으며 특히, 교통사고가 동반된 화재의 경우 인명피해 가능성이 높아 화재를 초기에 진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차량용 소화기는 소방시설 판매업체 또는 인터넷 등을 통해 구입할 수 있으며 본체 용기표면에 ‘자동차 겸용’이라 표시된 제품을 차량 종류별 소화기 규격 및 수량에 알맞게 구입해야 하고 비치장소는 특별히 정하고 있지 않으나, 화재 발생 시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사용하기 용이한 위치에 비치하면 된다.

 

서병주 서장은 “차량용 소화기 의무를 5인승 이상 승용차량까지 확대한 것은 차량 화재 시 신속한 대응으로 인명 및 재산피해를 줄이기 위한 취지다”며 “본인 차량뿐만 아니라 다른 차량 화재발생 시 주변의 차량 운전자들로부터 도움을 주거나 받을 수 있어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지난 10월 전북 완주군에서 방전된 차량의 배터리를 점프 케이블로 충전하던 중 화재가 발생했으나, 소화기로 신속히 화재를 진압해 소방대가 도착하기 전에 완전히 진화한 좋은 사례가 있다.


하인규 기자 popupnews24@naver.com

 

아래는 위의 글을 구글번역이 번역한 영문의 전문이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Below is the full English translation of the above text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to improve comprehension.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Yangpyeong Fire Station, vehicle fire extinguishers are not 'optional' but 'mandatory'

Mandatory installation and placement of fire extinguishers in vehicles with 5 or more seats from December 1, 2024

 

- Reporter Ha In-gyu

 

(Yangpyeong=Break News Gyeonggi Northeast) Yangpyeong Fire Station (Chief Seo Byeong-ju) announced that vehicle fire extinguishers must be placed in vehicles to ensure a quick initial response and reduce damage to life and property in the event of a vehicle fire.

 

According to the National Fire Agency's fire statistics, there were a total of 11,398 vehicle fires in the past three years, showing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fires and deaths every year. This means that an average of 3,799 cases occurred per year, resulting in 27 deaths and 149 injuries.

 

In the event of a vehicle fire, there is a very high risk of the fire spreading to the entire vehicle due to the many flammable materials such as fuel and vehicle seat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fire accompanied by a traffic accident, the possibility of casualties is high, so it is important to extinguish the fire early.

 

Vehicle fire extinguishers can be purchased through fire equipment retailers or the Internet, etc., and products with the words “for use with vehicles” on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container must be purchased in accordance with the specifications and quantity of fire extinguishers for each vehicle type. There is no specific requirement for where they should be placed, but they should be placed in a location where the driver or passengers can easily use them in the event of a fire.

 

Chief Seo Byeong-ju said, “The purpose of expanding the vehicle fire extinguisher requirement to passenger vehicles with 5 or more seats is to reduce casualties and property damage through a quick response in the event of a vehicle fire.” He added, “We expect it to be very effective because you can provide or receive help from drivers of other vehicles in addition to your own vehicle.”

 

In addition, there was a good case in Wanju-gun, Jeollabuk-do in October when a fire broke out while charging a discharged vehicle battery with jumper cables, but the fire was quickly extinguished with a fire extinguisher before the fire brigade arrived.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광고
광고
포토뉴스
국민의힘 구리시 당원협의회,단합과 비전 다져
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