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두천시의회 김재수 의원, 5분 자유발언 가져

“서바이벌 방식 성과 평가로 대표 브랜드 축제 육성해야!”
경쟁 체제 성과 평가를 통한 각종 축제 등 행사 통폐합 제안

하인규 기자 | 기사입력 2024/12/08 [11:49]

동두천시의회 김재수 의원, 5분 자유발언 가져

“서바이벌 방식 성과 평가로 대표 브랜드 축제 육성해야!”
경쟁 체제 성과 평가를 통한 각종 축제 등 행사 통폐합 제안

하인규 기자 | 입력 : 2024/12/08 [11:49]

▲ 동두천시의회 김재수 의원(사진제공=동두천시의회)  © 브레이크뉴스 하인규 기자


(동두천=브레이크뉴스 경기동북부)하인규 기자=동두천시의회(의장 김승호) 김재수 의원(더불어민주당, 가선거구)이 서바이벌 방식 성과 평가에 의한 축제성 행사 통폐합과 대표 브랜드 축제 집중 육성안을 제시했다. 지난 2일 제334회 동두천시의회 정례회 개회식 5분 자유발언에서 밝힌 내용이다.

 

김 의원은 “애매한 품질의 다수를 튼실한 퀄리티의 소수로 통폐합해야 한다.”라며, 동두천의 각종 문화·예술 축제와 행사를 전면적으로 구조조정하여 재편하자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코로나 시국 종료 후 민선 8기 들어 축제성 문화·예술 행사가 상당히 많이 늘었다.”라고 지적했다.

 

“이 많은 축제와 행사의 가성비(투입 대비 효과)를 냉정히 따져볼 필요가 있다.”라고 말한 김 의원은, 과감하게 없앨 건 없애고 살릴 건 살려서 우수 축제에 예산과 행정력을 집중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외부 관광객을 끌어모을 수 있는 동두천 대표 브랜드 축제는 사실상 없다고 단언했다. 현재와 같은 방식의 개성과 특색·장점과 유인이 부족한 마을 축제들만으로는 예산의 비효율적 낭비와 뚜렷한 성과의 부재라는 함정에 빠지게 된다는 것이다.

 

이어 김 의원은 “서바이벌 방식 또는 리그제와 같은 치열한 경쟁 시스템을 도입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모든 축제성 행사에 객관적 성과 지표를 설정하고 냉정하고 합리적인 평가를 통해 취사선택하자는 것이다. 그 지표로서 김 의원은 투입 예산 대비 참가자 수, 지역 상권 매출, SNS 반응, 미디어 노출 효과, 재방문 의사 등 외부 관광객 만족도를 제시했다.

 

“축제는 내부 자족형이 아니라 외부 만족형을 지향해야 한다.”라고 말한 김 의원은 “동두천을 대표하는 우수 브랜드 축제를 키워내는 것이 지역 경제를 살리고 도시 이미지와 가치를 높이는 길”이라고 말했다. 아래는 5분 자유발언 전문이다.

 

존경하는 동두천시민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늘 시민과 함께하는 시민의 보좌관!

가 선거구, 더불어민주당 김재수 의원입니다.

 

오늘 발언 기회를 주신 김승호 의장님과 선배, 동료 의원 여러분께 깊이 감사드립니다.

아울러, ‘동두천을 새롭게! 시민을 힘 나게!’라는 구호 아래, 시를 위해 노력하고 계신 박형덕 시장님과 모든 공직자 여러분의 노고에도 깊은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함께해 주신 언론인 여러분, 정말 감사합니다.

 

1997년 IMF 국제통화기금 구제금융사태는 우리 국민에게 뼈아픈 기억으로 남아 있습니다. 새삼 그때 당시의 참상을 떠올리는 것조차 고통이지만, IMF 사태를 겪으면서 우리가 체득한 몇 가지 교훈은 잊지 말아야 할 것입니다.

 

그 여러 교훈 중 하나를 꼽으라면, 바로 이것입니다. 외부의 거세고 높은 파도를 이겨내려면 부실한 다수가 아닌 튼실한 소수로 통합해서 뭉쳐야 한다는 것. 기억하실 겁니다. 셀 수도 없이 많았던 은행들은 IMF 외환위기 상황에서 먼지처럼 파도에 휩쓸렸고, 국제통화기금의 간섭에 따라 결국 올망졸망 그 많던 은행들은 지금 살아남아 있는 몇 개의 공룡은행으로 통폐합되었다는 사실. 그리고 문어발식 확장과 차입 경영으로 일관하던 유수의 대기업들도 부실이 드러나고 부도를 맞아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는 사실. 세기말 대한민국이 감당해야 했던 그 처참한 비극 속에서, 그나마 우리는 그런 교훈을 깨닫게 된 것입니다.

 

새삼 27년 전의 일을 왜 끄집어내는 거냐고 의아해하실 겁니다. 바로 오늘 제가 말씀드리려는 주제가 같은 맥락에서 해석되기 때문입니다.

 

부실한 다수, 아니 정제된 표현으로 바꿔서 애매한 품질의 다수를 튼실한 퀄리티의 소수로 통폐합하자는 말씀을 드리려 합니다. 바로 축제를 비롯한 관내 각종 문화·예술 행사들을 전면적으로 재편하고 과감하게 구조조정을 하자는 것입니다.

 

몇 년 동안의 코로나 시국으로 인한 착시현상을 제거하더라도, 민선 8기 들어 축제성 문화·예술 행사가 상당히 많이 늘어났다는 점에는 동의하실 것입니다. 정말 많습니다. 이번 발언을 준비하면서 제가 집행부로부터 받아본 자료를 살펴보니 정말 많습니다. 시민들이 즐길 수 있는 축제나 행사가 많다는 건 일단 썩 나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이토록 많은 축제와 행사들이 과연 영양가가 얼마나 있느냐하는 겁니다. 공짜로 여는 잔치는 세상에 없습니다.다 돈이 듭니다. 잔치는 예산을 잡아먹고 판을 벌입니다.

 

우리는 이 많은 축제와 행사의 가성비, 즉 투입 대비 효과를 한번 냉정하게 따져볼 필요가 있습니다. 그래서 과감하게 없앨 건 없애고, 살릴 건 살려서 예산과 행정력을 몰아줘야합니다. 그래야 우리 시가 살아남기 때문입니다. IMF 같은 사태가 언제 우리를 덮칠지 장담 못합니다.지방재정 파탄 위기에는 눈이 없습니다. 우리 시만 피해 간다는 보장이 없습니다.

 

제가 질문 하나를 드리겠습니다. 동두천 하면 떠오르는, 동두천을 대표하는 축제가 뭘까요?락페스티벌? 소요단풍제? 아니 제가 드리는 질문은, 최소한 화천의 산천어축제나 전곡의 구석기축제 정도 체급은 되는 대표 축제가 있느냐는 겁니다. 대답 못하실 겁니다. 없습니다.우리에겐 그런 시그니처 축제라는 게 없습니다. 우리 자신도 자신있게 대답을 못 하는데 하물며 외부 사람들 눈에는 어떻게 보일까요?

 

축제 등 행사는 안팎으로 두 가지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나는 외부 방문객 유치를 통해 실질적인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고 도시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것.다른 하나는 지역 주민의 즐거움을 통해 공동체 활성화를 꾀하는 것. 물론 앞의 목적이 중심이 돼야 합니다.

 

그런데 현재 동두천의 축제와 행사들은 이 두 가지 목표를 함께 추구하다 보니 이도 저도 아닌 함정에 빠지고 말았습니다. 결국 예산의 비효율적 낭비와 분명한 성과의 부재라는 함정말입니다.

 

나라 전체 인구는 갈수록 줄고 있습니다. 얼어붙은 경기 속에서 사람들은 꽁꽁 닫힌 지갑을 좀체 열지 않습니다. 전국적으로 살아남는, 제대로 관광객을 끌어모으고 지역경제를 살리는 축제와 행사는 몇 안 됩니다. 조금 냉정하게 말씀드려서, 우리 동두천의 그 많은 축제와 행사들은 그냥 우리 주민들만 잠깐 모여 즐기는 소규모의 자급자족적 일과성 유흥에 그치고 있습니다.가물에 콩 나듯 어쩌다 오는 A급 몇 명을 빼면 B급 이하 트로트 가수들 목소리와 막걸리에 파전 냄새만 진동하는, 천편일률적인 체험 부스들이 되풀이 열리는, 아무런 개성도 특색도 장점도 유인도 없는, 그저 그런 동네 마을 잔치 수준이라는 겁니다.

 

그래서 저는 제안합니다. 서바이벌 방식 내지 리그제, 치열한 경쟁 시스템을 관내 축제와 행사들에 도입하자는 말씀입니다. 모든 축제와 행사들에 대해 객관적 성과 지표를 설정하고 냉정하고 합리적인 성과 평가를 통해 살릴 것만 살리고 버릴 건 과감히 버리자는 겁니다. 투입 예산 대비 참가자 수, 지역 상권 매출, SNS 반응, 미디어 노출 효과, 재방문 의사 등 외부 관광객 만족도 등을 객관적으로 평가해서 높은 성과를 보이는 축제에 예산을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보완해 가면서 동두천을 대표하는 시그니처 브랜드 축제를 육성하는 것입니다. 물론 신규 진입은 누구나 할 수 있도록 허용하되, 경쟁에서 밀리면 가차 없이 퇴장시키는 겁니다.

 

간단히 말씀드려서, 내부 자족형이 아니라 외부 만족형으로 가야한다는 이야기입니다. 연천만 하더라도 구석기축제 하나로 재미를 제대로 보고 있습니다. 우리도 동두천시민들만 간신히 알고 즐기는 자잘한 축제가 아닌, 전국구 인지도를 갖춘 대표 축제 하나쯤은 있어야하지 않겠습니까?

 

서바이벌 또는 리그제 방식의 경쟁 시스템 도입을 통한 축제 등 행사의 통폐합, 그를 통한 우수 축제 집중 육성으로 동두천 대표 브랜드 축제를 키워내서 동두천시민들도 즐기고 외부 관광객을 모아 지역경제도 살리고, 동두천이라는 도시 브랜드 가치도 높이는 길. 오늘 본 의원의 제안을 집행부에서는 진지하게 그리고 긍정적으로 검토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경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하인규 기자 popupnews24@naver.com

 

아래는 위의 글을 구글번역이 번역한 영문의 전문이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Below is the full English translation of the above text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to improve comprehension.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Dongducheon City Council member Kim Jae-soo, 5-minute free speech

"We need to foster representative brand festivals through survival-style performance evaluation!"

Proposal to merge various festivals and events through performance evaluation of competitive system

 

-Reporter Ha In-gyu

 

(Dongducheon=Break News Gyeonggi Northeast) Dongducheon City Council (Chairman Kim Seung-ho) member Kim Jae-soo (Democratic Party of Korea, A constituency) proposed a plan to merge festival-style events through survival-style performance evaluation and to focus on fostering representative brand festivals. This is what he revealed during his 5-minute free speech at the opening ceremony of the 334th regular session of Dongducheon City Council on the 2nd.

 

Rep. Kim said, “We need to consolidate the majority of ambiguous quality into a minority of solid quality,” and insisted on comprehensively restructuring and reorganizing various cultural and artistic festivals and events in Dongducheon. Rep. Kim pointed out, “Since the end of the COVID-19 situation and the 8th local government, the number of festival-style cultural and artistic event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We need to calmly consider the cost-effectiveness (effects compared to investment) of these many festivals and events,” Rep. Kim said, arguing that we should boldly eliminate what needs to be eliminated and preserve what needs to be preserved, and focus our budget and administrative power on excellent festivals.

 

Rep. Kim asserted that there is virtually no representative brand festival in Dongducheon that can attract outside tourists. He said that if we only have the current form of village festivals that lack individuality, characteristics, merits, and incentives, we will fall into the trap of inefficient waste of budget and lack of clear results.

 

Rep. Kim continued, “We need to introduce a fiercely competitive system such as a survival system or league system.” The idea is to set objective performance indicators for all festival events and select them through cool-headed and rational evaluations. As indicators, Rep. Kim presented external tourist satisfaction such as the number of participants compared to the budget invested, local commercial sales, SNS response, media exposure effect, and intention to visit again.

 

Rep. Kim said, “Festivals should aim for external satisfaction rather than internal self-sufficiency,” and added, “Developing excellent brand festivals representing Dongducheon is the way to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and enhance the city’s image and value.” Below is the full text of the 5-minute free speech.

 

Respected citizens of Dongducheon!

 

Hello! A citizen’s aide who is always with the citizens!

 

This is Rep. Kim Jae-soo of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 District A.

 

I would like to express my deepest gratitude to Chairman Kim Seung-ho and my seniors and fellow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for giving me the opportunity to speak today.

 

In addition, I would like to express my deepest gratitude to Mayor Park Hyung-deok and all public officials who are working hard for the city under the slogan, ‘Renew Dongducheon! Empower the citizens!’

 

And thank you to all the journalists who joined us.

 

The 1997 IMF bailout remains a painful memory for our people. It is painful to even recall the tragedy of that time, but we must not forget the few lessons we learned while going through the IMF crisis.

 

If I had to pick one of those lessons, it would be this. In order to overcome the strong and high waves from the outside, we must unite as a solid minority, not a weak majority. You will remember. The countless banks that were swept away like dust in the IMF foreign exchange crisis, and due to the intervention of the IMF, those many banks were eventually consolidated into a few dinosaur banks that are still alive today. And the fact that even the leading conglomerates that consistently expanded like octopuses and managed with borrowings were exposed to insolvency and went bankrupt, disappearing into history. In the midst of the miserable tragedy that the Republic of Korea had to endure at the end of the century, we were able to learn such lessons.

 

You may wonder why I am bringing up something that happened 27 years ago. This is because the topic I am going to talk about today is interpreted in the same context.

 

I would like to say that we should consolidate the poor majority, or rather, to put it in a refined way, the ambiguous majority into a solid minority. This means that we should comprehensively reorganize and boldly restructure various cultural and artistic events in the city, including festivals.

 

Even if we remove the illusion caused by the COVID-19 situation for several years, I think you will agree that the number of festival-like cultural and artistic event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since the 8th local government was elected. There really are a lot. When I looked at the data I received from the executive branch while preparing this speech, there really are a lot. It is not bad to have a lot of festivals and events that citizens can enjoy.

 

However, the problem is how much nutritional value do these many festivals and events have? There is no such thing as a free party. They all cost money. A party eats up the budget and becomes a business.

 

We need to take a cool-headed look at the cost-effectiveness of these many festivals and events, that is, the effect compared to the investment. So we need to boldly eliminate what needs to be eliminated and save what needs to be saved, and concentrate our budget and administrative power. That is how our city will survive. I cannot guarantee when an IMF-like crisis will hit us. There is no way to predict the collapse of local finances. There is no guarantee that our city will be spared.

 

Let me ask you a question. When you think of Dongducheon, what festival comes to mind that represents Dongducheon? Rock Festival? Soyo Maple Festival? No, my question is whether there is a representative festival that is at least as good as Hwacheon’s Sancheoneo Festival or Jeongok’s Paleolithic Festival. You will not be able to answer. There is none. We do not have such a signature festival. We cannot confidently answer ourselves, so how would we appear to outsiders?

 

Festivals and other events have two purposes, internal and external. One is to promote real local economic activation by attracting external visitors and to increase the city brand value. The other is to promote community activation through the enjoyment of local residents. Of course, the former goal should be the central goal.

 

However, Dongducheon's current festivals and events have fallen into a trap of neither here nor there by pursuing these two goals at the same time. In the end, it is a trap of inefficient waste of budget and lack of clear results.

 

The overall population of the country is decreasing. In a frozen economy, people are reluctant to open their tightly closed wallets. There are only a few festivals and events that survive nationwide, properly attracting tourists and revitalizing the local economy. To put it bluntly, the many festivals and events in Dongducheon are just small-scale, self-sufficient, temporary entertainments that only our residents gather to enjoy. Except for a few A-class people who come every once in a while, the voices of B-class or lower trot singers, the smell of makgeolli and pajeon (Korean pancakes) and the repetitive, monotonous experience booths are all there, with no individuality, characteristics, merits or attraction, just ordinary neighborhood festivals.

 

That’s why I propose that we introduce a survival system, a league system, or a fierce competition system to festivals and events in the region. We should set objective performance indicators for all festivals and events, and boldly discard what we can save through cool-headed and rational performance evaluations. We should objectively evaluate the number of participants, local commercial sales, SNS responses, media exposure effects, and external tourist satisfaction, such as intention to visit again, and invest and supplement the budget in festivals that show high performance, thereby fostering a signature brand festival representing Dongducheon. Of course, anyone can enter the competition, but if they fall behind in the competition, they will be mercilessly eliminated.

 

To put it simply, it is a story about moving from internal self-sufficiency to external satisfaction. Even in Yeoncheon Bay, we are having a lot of fun with just the Paleolithic Festival. Shouldn’t we have at least one representative festival with nationwide recognition, not a small festival that only Dongducheon citizens barely know about and enjoy?

 

By introducing a competition system in the form of a survival or league system, merging events such as festivals, and fostering excellent festivals through this, we can grow Dongducheon’s representative brand festival, so that Dongducheon citizens can enjoy it, attract external tourists,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and increase the value of the city brand called Dongducheon. I hope that the executive branch will seriously and positively review the proposal of the member of the National Assembly today. Thank you for listening.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광고
광고
포토뉴스
국민의힘 구리시 당원협의회,단합과 비전 다져
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