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두천시의회 권영기 의원, 5분 자유발언 가져

“관내 1인 가구 실태 조사와 대책 수립 서둘러야”

하인규 기자 | 기사입력 2024/12/08 [11:46]

동두천시의회 권영기 의원, 5분 자유발언 가져

“관내 1인 가구 실태 조사와 대책 수립 서둘러야”

하인규 기자 | 입력 : 2024/12/08 [11:46]

▲ 포천시의회 권영기 의원(사진제공=포천시의회)  © 브레이크뉴스 하인규 기자


(동두천=브레이크뉴스 경기동북부)하인규 기자=동두천시의회(의장 김승호) 권영기 의원(무소속, 나선거구)이 관내 1인 가구에 대한 실태 조사와 대책 수립을 서두르자고 제안했다.

 

지난 2일 제334회 동두천시의회 정례회 개회식 5분 자유발언에서 권영기 의원은 “경기도 전체에서는 3가구 중 1가구가 1인 가구지만, 동두천은 거의 둘 중 하나가 1인 가구”라며, 인구 감소와 함께 진행되고 있는 동두천의 1인 가구 수 증가 현상을 소개했다.

 

“1인 가구 증가는 저출생·고령화의 원인이자 결과”라고 분석한 권 의원은, 1인 가구 증가세는 ▶동두천시 인구정책, ▶동두천시 복지정책의 두 가지 차원에서의 중장기적 예측과 대응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 권 의원은 ▶내년도 시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 시에 1인 가구 급증에 대응하는 시책 개발을 포함할 것과 ▶주로 고독사 예방과 여성 안심 서비스에 한정됐던 1인 가구 관련 시책의 범위를 보다 포괄적이고 망라적으로 확대할 것을 주문했다.

 

권 의원은 참고 우수사례로서 최근 발표된 ‘경기도 1인 가구 정책 제안 공모전’ 선정 아이디어 몇 가지를 소개하기도 했다.

 

권영기 의원은 “시간과 노력이 들더라도 우선 관내 1인 가구 실태 조사에 나설 필요가 있다. 기본 현황이 파악되어야 문제점을 진단하고 그에 맞는 대응책을 마련할 수 있기 때문이다.”라며 발언을 마무리했다. 아래는 5분 자유발언 전문이다.

 

존경하는 동두천시민 여러분!

김승호 의장님과 동료 의원님 여러분!

박형덕 시장님과 공직자 여러분!

 

언론인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무소속 시의원 권영기입니다.

 

저는...... 혼자서 삽니다.

 

다시 말해 1인 가구 세대주입니다.

 

어쩌다 보니 그렇게 되었습니다. 경험해 보니, 누구든, 언제든 1인 가구가 될 수 있다는 걸 알게 됐습니다.

 

막상 저 자신이 1인 가구 그 자체가 되고 나니, 새삼 우리 시 1인 가구 상황에 더욱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게 되었습니다. 대략 살펴본 결과, 최근 5년 동안 우리 시 인구는 9천 명이 줄어들었지만 세대 수는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선뜻 이해되지 않으실 수도 있겠습니다. 인구는 감소하는데 세대 수는 늘어난다? 원인은 다름 아닌 1인 가구의 증가였습니다. 우리 시 1인 가구는 총 1만 9천여 세대로, 전체 세대의 45%에 육박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놀라셨을 겁니다. 저도 놀랐습니다. 우리 시 전체 세대, 거의 2가구 중 1가구가 1인 가구라는 셈입니다. 경기도 전체로 보자면 3가구 중 1가구가 1인 가구라는 점에서, 특히 우리 동두천의 경우는 그 비율이 훨씬 높다고 하겠습니다.

 

어느 TV 예능 프로그램에서는 ‘혼자 사는 삶의 낭만과 자유’를 그럴싸하게 연출해 보이고 있습니다만, 그건 지극히 극소수 일부의 만화 같은 삶일 뿐, 실제 현실은 그렇지 않다는 것을 여러분도 잘 아실 것입니다. 노년층과 청장년층을 가리지 않고 덮치는 고독사 사고의 폭발적인 증가세가 보여주듯, 이미 1인 가구는 우리의 사회 문제가 된 지 오래입니다.

 

1인 가구 증가는, 한편으로는 저출생·고령화의 원인이면서, 또 한편으로는 동시에 저출생·고령화의 결과이기도 합니다. 결혼 기피로 인한 청년 1인 가구의 증가는 저출생의 원인이 되고, 그로 인한 고령화는 노인 1인 가구의 증가로 악순환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1인 가구 문제는 저출생·고령화 문제 해결과 같은 맥락에서 파악되고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입니다.

 

이러한 차원에서 시 인구 증가 정책의 중요한 한 부분으로서 1인 가구 확산 현상을 직시하고, 그에 적합한 시책을 개발하고 추진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생각합니다. 이와 함께 시 복지정책에서도 1인 가구 증가세에 대응할 수 있는 정책 수립과 실천이 필요합니다. 요컨대1인 가구 증가세는, 첫째 시 인구정책, 둘째 시 복지정책이라는 두 가지 차원에서의 중장기적 예측과 대응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말씀드렸다시피, ‘나 혼자 산다’라는 낭만과 자유는 사실상 허구에 가깝습니다. 혼자 살면서 겪을 수 있는 신체와 정신건강의 문제, 경제적 곤란, 우울과 질병, 고독사 등은, 역시 말씀드렸다시피, 누구든 언제든 1인 가구가 되어 맞닥뜨릴 수 있는 상황입니다.

 

이에 본 의원은, 내년도 시 중장기 발전계획을 수립할 때, 급격한 1인 가구 증가에 적절하게 대응하는 시책 개발이 반드시 포함되어야한다고 제안해 드리는 바입니다. 그동안 시의 1인 가구 관련 시책은 주로 고독사 예방과 여성 안심 서비스에 한정되었습니다만, 그 범위를 넘어서서 보다 포괄적이고 망라적인 1인 가구 정책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이와 관련해, 바로 얼마 전에 발표된 ‘경기도 1인 가구 정책 제안 공모전’ 선정 결과몇 가지를 참고로 소개합니다.

 

먼저, 1인 가구가 전입 신고를 하면 문자메시지나 전자우편 등으로 경기도와 우리 시에서 시행 중인 1인 가구 정책을 안내하는 방안. 그리고 도시 유휴 공간을 활용해 1인 가구가 손쉽게 자연과 교류할 수 있는 모듈형 농장을 조성하는 아이디어, 또한 기존 고독사 고위험군에게 전화나 문자메시지 안부를 묻는 것에서 나아가 희망하는 1인 가구에게도 서비스를 확대하고 지역 내 자율방범대와 택배 기사, 가스 검침원 등을 통한 미응답자 확인 체계를 구축하는 방안, 기타 1인 가구 간 결연을 통한 상호 정서적 지원, 1인 맞춤 장례 서비스 지원 등이 우수 정책 제안으로 뽑혔습니다. 이외에 성남시 등 일부 지자체에서도 1인 가구 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 아이디어를 공모전 등을 통해 접수하고 있었습니다.

 

앞으로 우리 시도 시정 운영에 있어서 1인 가구 문제에 지금보다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우선, 시간과 노력이 다소 들더라도 관내 1인 가구 실태 조사에 나서는 것이 그 첫걸음이 될 것입니다. 기본 현황이 파악되어야 문제점을 진단하고 그에 맞는 대응책을 마련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오늘 본 의원의 발언을 계기로 1인 가구에 대한 보다 많은 관심으로 관련 시책들이 수립되기를 기대하며 이상 발언을 마칩니다. 경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하인규 기자 popupnews24@naver.com

 

아래는 위의 글을 구글번역이 번역한 영문의 전문이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Below is the full English translation of the above text,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to improve comprehension. Please note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Dongducheon City Council member Kwon Young-ki, 334th regular session, 5-minute free speech

"We need to hurry up and investigate the status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 the district and establish countermeasures"

 

- Reporter Ha In-gyu

 

(Dongducheon=Break News Gyeonggi Northeast) Dongducheon City Council (Chairman Kim Seung-ho) member Kwon Young-ki (Independent, Naseon-geo District) proposed to hurry up and investigate the status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 the district and establish countermeasures.

 

At the 5-minute free speech at the opening ceremony of the 334th regular session of the Dongducheon City Council on the 2nd, Assemblyman Kwon Young-ki said, “In the entire Gyeonggi Province, one out of three households is a single-person household, but in Dongducheon, almost one out of two is a single-person household,” and introduced the phenomenon of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 Dongducheon that is occurring along with the population decline.

 

Assemblyman Kwon, who analyzed that “the increase in single-person households is both the cause and the result of low birth rates and aging population,” argued that the increase in single-person households requires mid- to long-term predictions and responses in two dimensions: ▶Dongducheon City’s population policy and ▶Dongducheon City’s welfare policy.

 

To this end, Assemblyman Kwon requested that ▶the city’s mid- to long-term development plan for next year include the development of policies to respond to the rapid increase in single-person households, and ▶the scope of policies related to single-person households, which were mainly limited to the prevention of lonely deaths and women’s safety services, be expanded more comprehensively and comprehensively.

 

As a reference, Rep. Kwon also introduced several ideas selected from the recently announced ‘Gyeonggi Province Single-Person Household Policy Proposal Contest’.

 

Rep. Kwon Young-ki concluded his speech by saying, “Even if it takes time and effort, we need to first investigate the status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 the district. This is because we need to understand the basic situation in order to diagnose problems and devise appropriate countermeasures.” Below is the full text of the 5-minute free speech.

 

Respected citizens of Dongducheon!

 

Chairman Kim Seung-ho and fellow council members!

 

Mayor Park Hyung-deok and public officials!

 

Journalists!

 

Hello. I am Kwon Young-ki, an independent city council member.

 

I live alone.

 

In other words, I am the head of a single-person household.

 

I just happened to be like that. Through experience, I learned that anyone can become a single-person household at any time.

 

Now that I have become a single-person household myself, I cannot help but take a greater interest in the situation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 our city. A rough look reveals that the population of our city has decreased by 9,000 over the past five years, but the number of households has actually increased. You may not understand this at first. The population is decreasing, but the number of households is increasing? The reason is none other than the increase in single-person households. It was analyzed that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 our city is approximately 19,000, which is close to 45% of all households.

 

You must be surprised. I was surprised too. In our city, almost one out of two households is a single-person household. In Gyeonggi Province as a whole, one out of three households is a single-person household, and in our Dongducheon in particular, the ratio is much higher.

 

Some TV entertainment programs portray the ‘romance and freedom of living alone’ in a plausible way, but you all know that it is only a cartoonish life for a very small number of people, and that is not the case in real life. As the explosive increase in deaths from loneliness that hit both the elderly and young adults shows, single-person households have long been a social problem in our society.

 

The increase in single-person households is, on the one hand, a cause of low birth rates and aging, but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a result of low birth rates and aging. The increase in single-person households among young people due to marriage avoidance is a cause of low birth rates, and the resulting aging is a vicious cycle that leads to an increase in single-person households among the elderly. Therefore, the problem of single-person households should be understood and countermeasures should be prepared in the same context as the solution to the problem of low birth rates and aging.

 

In this regard, I think it is urgent to face the phenomenon of the spread of single-person households as an important part of the city's population growth policy and to develop and promote appropriate policies. In addition, the city's welfare policy also needs to establish and implement policies that can respond to the increase in single-person households. In short, the increase in single-person households requires mid- to long-term predictions and responses in two dimensions: first, the city's population policy, and second, the city's welfare policy.

 

As I said, the romanticism and freedom of ‘living alone’ are actually close to fiction. The physical and mental health problems, economic difficulties, depression and illness, and death from loneliness that can be experienced while living alone, as I said, are situations that anyone can face at any time when becoming a single-person household.

 

Therefore,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when establishing the city’s mid- to long-term development plan for next year, policies that appropriately respond to the rapid increase in single-person households must be included. Until now, the city’s policies related to single-person households have been limited to preventing deaths from loneliness and providing women’s safety services, but it is time for a more comprehensive and comprehensive single-person household policy that goes beyond that scope.

 

In relation to this, I would like to introduce some of the results of the ‘Gyeonggi Province Single-Person Household Policy Proposal Contest’ that was announced just recently.

 

First, a plan to inform single-person households of the single-person household policy being implemented by Gyeonggi Province and our city via text message or e-mail when a single-person household reports moving in. The idea of ​​creating a modular farm where single-person households can easily interact with nature by utilizing idle urban space, as well as expanding services to single-person households who wish to go beyond the existing high-risk group for lonely deaths by phone or text message, and establishing a system to check on non-respondents through local autonomous neighborhood watch groups, delivery workers, and gas meter readers, mutual emotional support through solidarity between single-person households, and support for customized funeral services for single-person households were selected as excellent policy proposals. In addition, some local governments, such as Seongnam City, have been accepting ideas from citizens for solving the single-person household problem through contests, etc.

 

I think that in the future, our city and provincial administrations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the single-person household problem than they do now. First, even if it takes some time and effort, conducting a survey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 the jurisdiction will be the first step. This is because only when the basic situation is identified can we diagnose problems and prepare appropriate countermeasures.

 

I hope that the remarks of this member today will lead to more interest in single-person households and the establishment of related policies. I will end my remarks here. Thank you for listening.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광고
광고
포토뉴스
국민의힘 구리시 당원협의회,단합과 비전 다져
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