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광덕 남양주시장 (사진제공=남양주시청) © 브레이크뉴스 하인규 기자
|
(남양주=브레이크뉴스 경기동북부)하인규 기자=남양주시(시장 주광덕)가 2031년 12월 준공 목표 실현을 위해 신청사 건립 사업 추진에 더욱 박차를 가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진행 중인‘신청사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 용역’이 마무리되는 내년 하반기에 건립 규모와 방식 등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지방투자분석센터(LOMAC)을 통한 타당성 조사 검토와 투자심사 등 행정절차 진행에 들어갈 예정이다.
시는 다산신도시 공공청사 부지인 청사 5·6부지 매입을 2022년에 완료하고 2021년부터 매년 200억 원 이상의 신청사 건립 기금을 조성해 왔다. 현재까지 약 856억 원이 마련됐고, 내년 하반기에는 그 규모가 11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사용 중인 금곡동 청사는 1995년 남양주군·미금시 통합 당시의 미금시 청사다. 그간 남양주시는 인구 74만의 대도시로 성장했고, 2035년경에는 인구 100만 메가시티를 내다보고 있다.
점점 다양해지고 늘어가는 행정수요에 대응하고, 향후 다가올 특례시 승격을 대비하기 위해서는 그에 걸맞은 신청사가 절실한 상황이다. 또, 현재 청사가 위치한 금곡동은 개발제한구역·문화재보호구역 지정 등으로 확장성 면에서 한계가 있다.
따라서 시는 통합 당시 행정기구설치조례에서 정한 대로 제2청사 부지인 다산동에 신청사를 조성하기로 했고, 그에 따른 준비를 차근차근 진행하고 있다. 현재 이곳에는 여러 행정기관이 모여있는데, 향후 신청사까지 들어서게 되면 많은 주민의 행정 서비스 이용 편의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주광덕 남양주시장은 “신청사 건립은 남양주의 미래와 시민을 위한 백년대계인 만큼 각계각층과의 지속적인 소통, 의견 수렴에 집중할 것”이라며 “신청사 추진위원회를 통해 건립 방향, 공간구성 등의 청사진을 함께 그려 나가고, 남양주의 특성을 반영한 미래형 청사로 만들기 위해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주 시장은 “청사 이전으로 금곡동에 공동화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금곡동 주민협의체 구성을 추진하겠다”며 “이를 통해 수렴한 의견들을 현 금곡동 청사 활용계획에 적극 반영하고, 금곡동 지역사회에 최소의 영향을 주면서도 상권을 활성화할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도 제대로 마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시는 부시장을 단장으로 신청사 건립 TF를 구성해 운영하고 있다.
하인규 기자 popupnews24@naver.com
아래는 위의 글을 구글번역이 번역한 영문의 전문이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Below is the full English translation of the above text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to improve comprehension. Please note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Namyangju City, Accelerates Construction of New Office Building in Preparation for Future 1 Million Megacity
- Mayor Joo Kwang-deok “We will properly establish the direction of construction of the new office building and the use of the Geumgok-dong building through communication and opinion gathering from all walks of life.”
- Reporter Ha In-gyu
(Namyangju=Break News Gyeonggi Northeast) Namyangju City (Mayor Joo Kwang-deok) announced that it will further accelerate the construction of the new office building to achieve the goal of completion by December 2031.
In the second half of next year, when the 'New Office Building Feasibility Study and Basic Plan Service' currently in progress is completed, the basic plan such as the scale and method of construction will be established, and administrative procedures such as review of the feasibility study and investment review through the Local Investment Analysis Center (LOMAC) will begin.
The city completed the purchase of the 5th and 6th sites of the Dasan New Town public office building in 2022, and has been raising funds for the construction of a new office building worth more than 20 billion won annually since 2021. Approximately 85.6 billion won has been raised so far, and the amount is expected to reach 110 billion won in the second half of next year.
The Geumgok-dong office building currently in use was the Migeum-si office building at the time of the integration of Namyangju-gun and Migeum-si in 1995. Since then, Namyangju-si has grown into a large city with a population of 740,000, and is expected to become a megacity with a population of 1 million by 2035.
In order to respond to the increasingly diverse and increasing administrative demands and prepare for the upcoming promotion to a special city, a new office building that is suitable for it is urgently needed. In addition, Geumgok-dong, where the current office building is located, has limitations in terms of expandability due to the designation of a development restriction zone and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zone.
Accordingly, the city decided to build a new building in Dasan-dong, the site of the second office building, as stipulated in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 establishment ordinance at the time of integration, and is making preparations accordingly. Currently, several administrative agencies are gathered here, and it is expected that the convenience of administrative services for many residents will increase when the new building is built in the future.
Namyangju Mayor Joo Gwang-deok said, “The construction of the new building is a 100-year plan for the future of Namyangju and its citizens, so we will focus on continuous communication and collecting opinions from all walks of life,” and “We will draw up a blueprint for the direction of construction and spatial composition through the new building promotion committee, and focus our administrative power to create a future-oriented office building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Namyangju.”
Mayor Joo continued, “We will promote the formation of a Geumgok-dong resident council so that the relocation of the office building does not cause a hollowing out of Geumgok-dong,” and emphasized, “We will actively reflect the opinions collected through this in the current Geumgok-dong office building utilization plan, and we will properly prepare practical measures to revitalize the commercial district while minimizing the impact on the Geumgok-dong community.”
Meanwhile, the city is operating a task force for the construction of a new city hall headed by the deputy mayor.
|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